4 0 0 1 0 0 8일전 0

공맹과 노장을 만나다

슬픔을 위로하고 이별을 노래하다

전통문화와 자연을 치유 자원으로 재구성해 왔습니다. 10여 년 ‘양주 상여와 회다지소리 보존회’ 활동을 통해 죽음을 치유의 기회로 전환하는 길을 보았습니다. 이 책은 두 가지 여정을 담고 있습니다. 1부는 ‘양주 상여와 회다지소리’의 도구, 복식, 절차, 연행을 슬픔을 나누는 치유의 예술로 조명합니다. 2부는 공자·맹자·노자·장자의 철학을 바탕으로 장례를 공동체적 사유의 장으로 재해석합니다. 이 책은 전통 장례나 동양철학에 관심 있는 일반 독자, 장례·웰다잉·치유 농업 종사자, 공동체 치유 문화에 주목하는 연구자 등을 위한 것입니다. 독자는 이 책을 통해 죽음을 따뜻하고 풍부한 언어로 이해하고, 장례 절차와 제례, 추모의 의미를 깊이 성찰하며, 현대 치유 문화와 웰다잉의 접..
전통문화와 자연을 치유 자원으로 재구성해 왔습니다. 10여 년 ‘양주 상여와 회다지소리 보존회’ 활동을 통해 죽음을 치유의 기회로 전환하는 길을 보았습니다.

이 책은 두 가지 여정을 담고 있습니다.
1부는 ‘양주 상여와 회다지소리’의 도구, 복식, 절차, 연행을 슬픔을 나누는 치유의 예술로 조명합니다.
2부는 공자·맹자·노자·장자의 철학을 바탕으로 장례를 공동체적 사유의 장으로 재해석합니다.

이 책은 전통 장례나 동양철학에 관심 있는 일반 독자, 장례·웰다잉·치유 농업 종사자, 공동체 치유 문화에 주목하는 연구자 등을 위한 것입니다.

독자는 이 책을 통해
죽음을 따뜻하고 풍부한 언어로 이해하고,
장례 절차와 제례, 추모의 의미를 깊이 성찰하며,
현대 치유 문화와 웰다잉의 접점을 발견하게 될 것입니다.

이 책은 문화재 현장 경험과 과학 기반 데이터를 접목한 융복합 실천형 콘텐츠이자, 감성과 이성을 아우르는 철학적 치유서입니다. 관련 이미지 생성에는 챗지피티의 도움이 있었고, ‘죽음도 결국 삶의 일부’라는 고백이 필요한 시대, 이 책이 그 고백의 첫 문장이 되기를 바랍니다.
그린케어혁신 랩 대표이자 웰다잉지도사, 치유농업사로서, 인간의 마지막 여정을 따뜻하게 만들기 위한 치유 문화의 융합적 시도를 하고 있습니다. 자연과 전통문화, 과학적 방법론을 접목해 죽음을 치유와 성찰의 기회로 전환하고자 합니다.

‘양주 상여와 회다지소리 보존회’에서 10여 년 봉사하며 공동체의 슬픔과 화해의 정서를 체득했습니다. 즉, 상두꾼, 회달고, 방상(시) 등 역할하면서 장례 의례의 깊은 치유력을 발견한 것이 집필의 출발점이 되었습니다. MBC 창사 51주년 드라마 『마의』 등에 출연해 전통 장례문화의 치유적 가치를 널리 알린 바 있습니다.

융복합 전공(인문·경영·공학)을 바탕으로 20년 이상 전략적 문제해결과 창의 융합교육(STEAM), 콘텐츠 개발을 해왔고, (사)한국혁신경영협회에서 혁신 컨설팅도 수행하고 있습니다. 현재는 통합 치유 플랫폼을 운영하며 의과학 기반의 치유 연구와 실천을 연계하는 데 집중하고 있습니다. 이는 전통문화의 감성과 과학적 논리를 결합한 새로운 장례·웰다잉 문화 창출을 지향합니다.

『공맹과 노장이 만나다』는 전통 장례의 재현을 넘어 공자·맹자·노자·장자 철학에 기반해 죽음을 공동체적 이별로 보는 시도를 담고 있습니다. 1부는 ‘양주 상여와 회다지소리’의 구조와 치유 기능을, 2부는 동양철학에서 본 상(喪)과 애도, 제례와 이별의 철학을 다루며 삶과 죽음을 잇는 다리를 제안합니다. 장례는 삶의 회복 출발점이라는 믿음 아래, 독자들이 죽음을 재해석하고 자신의 삶을 돌아볼 수 있도록 돕고자 합니다. 누구나 존엄한 마지막을 맞이할 수 있도록, 전통과 현대, 이성과 감성, 사람과 자연을 잇는 여정을 오늘도 이어가고 있습니다.

㈜유페이퍼 대표 이병훈 | 316-86-00520 | 통신판매 2017-서울강남-00994 서울 강남구 학동로2길19, 2층 (논현동,세일빌딩) 02-577-6002 help@upaper.kr 개인정보책임 : 이선희